[섹스리스]우리 부부도 섹스리스인가요?







이번 주제는 바로 섹스리스 입니다! 

부부의 세계에선 빠질 수 없는 소재겠죠?


국내에 제대로 된 섹스 전문가가 많지 않고, 

연구도 다른 테마에 비해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요. 


그래서 신디에서 제대로

섹스리스 이슈를 다뤄 보려고 합니다.


먼저 섹스리스 부부의 

정의를 살펴 볼게요.


섹스리스라는 개념은 

1991년 일본의 정신과 의사였던 

아베 테루오(阿部 輝夫)가 

성과학회에 발표를 하면서 등장하였고


부부간 성관계가 

거의 혹은 전혀 없는 상태를 말하는데

 그 정의의 기준은 다양해요.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준은 2006년 실시된 

Friedman의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으로

성관계 빈도가 1년에 10회 미만인 

경우를 섹스리스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이 기준에 따르면

미국의 10~20%의 부부가 섹스리스 부부이며 

일본은 무려 44.6%가 섹스리스 부부라고 해요.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해외 논문에 발표된 

세계 섹스리스 부부 비율이 20% 수준인데

그에 비하면 한국 역시 매우 높아요.

일본에 이어 무려 세계 2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2016년 한국성과학연구소 보고에 의하면 

1,9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최근 1개월 간 배우자와 성관계를 

아예 갖지 않거나 월 1회인 사람은

 35.1%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결혼 기간별로 보면 

11~20년차 부부는 30.7%

 21~30년차는 37.2%

31년차 이상은 53.9% 등으로 

결혼 생활이 길어질수록 

 섹스리스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죠.




점점 늘어가는 

섹스리스 부부, 꼭 문제일까?


일반적으로 서구 문화에서는 

 부부간 성적 만족을 

부부 관계의 질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

부부 사이에 성생활이 없는 것을 

비정상적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요.


 현대적 결혼의 핵심 요소는 낭만적 사랑으로 

서로간의 성적 만족의 성취가 

결혼의 유지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는 입장이죠.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좀 달라요.


1980년대 후반부터 

'평온한 결혼 생활은 하지만 

배우자와 성생활을 하지 않는 부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 거예요.


섹스리스 부부가 급증하며

사회적 관심이 되긴 했지만 

정작 일본의 섹스리스 부부들은 

그 상황을 문제로 보지 않는다는 거였죠.


실제로 일본인들은 육아나 직장생활이 

부부의 성생활보다 더 중요한 활동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부부간의 성적 거리가 발생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우리 나라의 섹스리스 관련 논문들에서도

 한국에서의 결혼은 개인간의 결합보다는 

여전히 가족간 결합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서구적 관점에서처럼

섹스리스 부부를 부정적인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부적절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어요.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의 유교 문화에서 

대를 잇기 위한 출산의 도구로 여겨졌던

부부 간의 성관계가


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야 

서로간의 사랑을 표현하고 

확인하는 통로로 변했죠.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결혼은

가족간의 결합과 

부부 중심의 독립된 가정을 만드는 것 

그 중간 어디쯤에 서 있어요.


그래서 많은 요즘 부부들이 

더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고요.



섹스리스 부부라면 혼란스러울 거예요.

내가 잘 살고 있는 걸까? 


우리가 기억해야할 것은 사람마다 

부부의 성에 대한 생각은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성관계의 횟수가 항상 중요한 것이 아니죠.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부부가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랍니다.


부부의 성생활에 대해 부부 중 

어느 한명이라도 불만족감과 불행함을 느낀다면 

부부 관계에 대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어요.





맞아요, 이게 궁금하실 텐데요.

이 질문은 다음 편에  

이어서 계속 나눠보도록 해요! 





그럼 다음 시간에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셨던

섹스리스 부부로 살아도 괜찮은가에 대해

심도 있게 이야기 나눠봐요!






REFERENCE

김효숙, & 이인수. (2015). 결혼생활에서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3(3), 579-604. 

신민정, & 임춘희. (2021). 30-40대 기혼 여성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2), 163-194.

Suszynski, M. (2011, September 8). Are Sexless Marriages and  Relationships Normal? Everyday Health. Retrieved from https://www.everydayhealth.com/sexual-health/are-sexless-marriages-and-relationships-normal.aspx